오늘뭐볼까?

요즘 대출 규제가 계속 바뀌면서 '대출을 받을 수 있는 건지 없는 건지' 헷갈리는 분들이 많아요. 대출에 자주 등장하는 용어인 LTV, DTI, DSR의 의미를 제대로 알면 대출 한도를 예측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거예요. 오늘은 이 세 가지 개념과 2024년부터 시행되는 스트레스 DSR까지 알기 쉽게 정리해 보겠습니다.


🔹 LTV(주택담보대출비율)란?

LTV는 주택을 담보로 대출을 받을 때, 집값 대비 얼마까지 대출이 가능한지를 나타내는 비율이에요. 쉽게 말해, 집값이 5억 원일 때 LTV 80%라면 최대 4억 원까지 대출을 받을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.

  • LTV 적용 기준:
    • 규제지역과 비규제지역에 따라 달라요.
    • 무주택자, 1주택자의 경우 비규제지역은 최대 70%, 규제지역은 40~60% 적용.
    • 생애 최초 주택 구매자라면 규제 여부와 상관없이 LTV 80%까지 적용 가능!
  • 다주택자 규제:
    • 2023년부터 규제지역 내에서도 다주택자가 최대 30%까지 대출 가능해졌어요.


🔹 DTI(총부채상환비율)란?

DTI는 연소득 대비 주택담보대출의 원리금과 기타 부채 이자 상환액의 비율을 의미해요. 대출을 받을 때 '갚을 능력'을 판단하는 지표입니다.

  • 계산 방법:
    • (주택담보대출 원리금 + 기타 대출의 이자 상환액) ÷ 연소득 × 100
    • 투기지역, 투기과열지구는 40%, 조정대상지역은 50%, 그 외 지역은 60% 적용됩니다.
  • 특례: 생애 최초 구입자나 서민 실수요자는 규제 지역에서도 60%까지 완화 적용.


🔹 DSR(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)란?

DSR은 모든 대출의 원리금을 연소득으로 나눈 비율이에요. 주택담보대출뿐만 아니라 학자금대출, 신용대출 등 모든 대출의 상환액을 포함합니다. 그래서 더 강력한 대출 규제로 작용하죠.

  • 계산 방법:
    • 모든 대출의 원리금 상환액 ÷ 연소득 × 100
    • 대출 총액이 1억 원을 넘으면 DSR 40% 규제를 적용해요. (2금융권은 50%)
  • 주의: 전세자금대출이나 소액 신용대출은 제외되지만, 마이너스 통장 한도는 전액 포함돼요.


🔹 스트레스 DSR이란?

2024년부터 시행되는 스트레스 DSR은 금리 인상을 고려해 대출 한도를 줄이는 방식이에요. 금리가 올라갈 가능성을 미리 반영해 대출자의 상환 능력을 평가하죠.

  • 스트레스 금리 적용 단계:
    • 1단계(2024년 2월~8월): 주택담보대출에만 적용, 스트레스 금리 1.5%의 25% 반영
    • 2단계(2024년 9월~): 신용대출, 2금융권 주택담보대출까지 확대, 스트레스 금리 50% 반영
    • 3단계(2025년 7월~): 스트레스 금리 100% 완전 반영
  • 스트레스 금리: 기본 1.5%p~3%p 사이에서 결정되며, 매년 상하반기에 조정됩니다.


🔹 대출 한도를 높이는 방법은?

  1. 연소득 증가: 연봉을 높이거나 추가 소득을 신고하세요.
  2. 상환 기간 연장: 대출 만기를 길게 설정하면 연간 원리금 부담이 줄어요.
  3. 원리금 부담 줄이기: 원리금 균등상환 방식이나 장기 만기 대출을 고려하세요.
  4. 부채 조정: 기존 대출을 상환해 총 부채를 줄이는 것도 방법입니다.


요약하자면, LTV는 담보가 되는 집값 대비 대출 가능 비율, DTI는 소득 대비 주택담보대출 상환액, DSR은 모든 대출의 원리금을 기준으로 한 규제입니다. 스트레스 DSR까지 고려하면 대출 한도를 더욱 꼼꼼하게 파악할 수 있어요!

 

혹시 더 궁금한 점 있으면 댓글로 남겨주세요! 😊

이 글을 공유합시다

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Talk kakaostory naver band